ge']=array ( 2 => '', 1 => '', ); ?> 설문조사 앱테크 엠브레인 패널파워 알아보자 > 공지사항 | iCMMS..

설문조사 앱테크 엠브레인 패널파워 알아보자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설문조사 앱테크 엠브레인 패널파워 알아보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Makayla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4-19 04:14

본문

저는 설문조사 아침에 3개의 방송은 꼭 챙겨 듣습니다.​- 이효석아카데미(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유료)-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무료)- 3프로TV 박병창 교보증권 이사님 시황(무료)​오늘은 신기하게도 3곳에서 전부 뱅크오브아메리카의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내용을 다뤄주시더군요.​특히 박병창 이사님께서는 펀드 매니저들은 학교 교수들과는 달리 실전에서 돈을 굴리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이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들을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하셨습니다.​PDF 원본 파일은 BoA의 유료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거라서 찾을 수가 없었는데.. 한군데 올라와 있더라고요.​도대체 무슨 내용이길래 다들 언급했을까 궁금하시죠?​간단히 요약해 드릴게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by Bank of America​▶ 조사일시 - 2025. 4. 4 ~ 설문조사 10(상호관세 발표 정점)▶ 조사대상 - 4440억 달러 자산을 운용하는 펀드매니저 195명​▶ 투자 심리 - 투자 심리는 사상 다섯 번째로 낮은 수준으로 급락 - 2월의 낙관론에서 강세론 붕괴(bull crash)로 전환 - 응답자의 82%가 향후 12개월 동안 글로벌 경제가 약화될 것으로 예상 └ 30년 만에 가장 비관적 전망 - 42%가 글로벌 경기 침체 예상 └ 지난 20년간 네 번째로 높은 침체 예상 수준 - 70% 이상이 향후 1년 내 스태그플레이션(높은 인플레이션과 낮은 성장) 예상​▶ 자산 배분 - 설문조사 현금 비율이 2023년 2월 대비 125bp 상승한 4.8%로 급등 - 2020년 4월 이후 가장 큰 2개월 증가폭 └ 현금 비중 높다 → 리스크 회피 심리 - 미국 주식 비중을 줄이겠다​는 매니저가 사상 최대를 기록 - 미국 예외주의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정점 - 헬스케어,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등 방어적 섹터로 자금 이동 - 은행, 소재, 에너지 등 경기 순환 섹터는 외면 - 42%가 2025년 최고 성과 자산으로 금을 꼽아 안전자산 선호​▶ 경제 및 정책 전망 - 57%가 설문조사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승을 예상 - 미국 달러와 미국 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줄어듦 - 유로존 및 신흥시장으로 관심 이동​▶ 테일 리스크 - 최대 리스크: 무역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 기타 리스크: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통화 정책 긴축, 미국 정부효율화부(DOGE)로 인한 미국 경기 침체 우려.​▶ 시장 시사점 - 극단적인 비관론은 역사적으로 시장 회복의 신호로 작용 └ 이번 설문조사의 비관적 전망이 주식 매수 신호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음 - 다만, 미국 주식 외 지역이나 방어적 자산에서 기회가 설문조사 있을 수 있음​​​과연 지금이 다시 주식을 살 땐가?​투자자들이 제일 싫어하는 것 중에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변동성이 있죠?!​주식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가 4월 7일 장중 60.13을 찍고 현재 30.12까지 내려왔습니다.VIX지수는 평소 30 아래에 있습니다.​시장에 큰 충격이 오면 치솟죠.​■ 2005년 이후 VIX지수 급등 사례​① 2008년 10월 10일 - 글로벌 금융위기 : 89.53​② 2020년 3월 16일 - 코로나19 팬데믹 : 82.69​③ 2024년 8월 5일 - 앤케리청산 : 65.73​④ 2025년 4월 9일 - 트럼프발 '관세 전쟁': 60.13​JP모건에서 VIX지수가 50을 설문조사 넘긴 사건 이후 1주일, 1달, 3개월 후 S&P500지수 주가 수익률을 정리했는데요.​3개월 후까지 주가가 -5% 넘게 하락해 회복이 안 된 경우는..​■ VIX지수 50 초과후 3개월 뒤 주가가 -5% 넘게 하락 ​① 1990년 8월 - 이라크 쿠웨이트 침공: -6.8%​② 2008년 9월 - 글로벌 금융위기 : -21.8%​③ 2020년 2월 - 코로나19 팬데믹 : -8.4%​④ 2022년 4월 - 금리 인상 사이클 시작 : -6.1%그 외에는 대부분 플러스 수익률로 올라왔죠.​관건은 경기침체가 올 만큼 시장이 부러지는가 였습니다.​그치만 월 단위가 아니라 연 설문조사 단위로 길게 보면요.1년 후 수익률이 안 오른 적이 없었습니다.​1년 후 평균 35%나 상승했네요.​​정리하면요.​트럼프발 '관세 전쟁'과 올 초부터 이어온 '경기침체'우려로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이 바짝 쫄아 있습니다.​그치만, 시장의 변동성은 줄어들고 있고요.​변동성이 피크(VIX 50 이상)를 치고, 주가도 급락했을 때 주식을 사면 1년 후에는 수익 낼 확률이 100%였습니다.​자신이 앞으로 1년 넘게 미국 주식에 투자할 의사가 있다면 분할 매수로 주식을 모아가는 것도 좋아 보이네요.​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 좌충우돌 투자 연습 중!※ 투자 공부한 개인 경험을 설문조사 정리했습니다.※ 투자는 꼭 본인의 생각과 소신으로 하셔요.​투자 공부한 걸 나눠서같이 부자 되길 원합니다!글을 방금 올리고 더 좋은 자료를 찾았네요!!​지금처럼 VIX지수가 50과 30 사이에 있을 때주식을 매수한다면? ​​어떠신가요?​사족>김영익 교수님께서는 올해 채권보다는 주식, 특히 미국 주식보다는 우리 주식 같은 이머징 마켓 주식 수익률이 더 높을 거라고 하시는데... 미국 주식보다 코스피 종목들을 모아가는 게 어떨까 싶기도 하네요.​​​;BoA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BoA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요약)​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20 ING Glob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