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앱테크 엠브레인 패널파워 알아보자
페이지 정보

본문
저는 설문조사 아침에 3개의 방송은 꼭 챙겨 듣습니다.- 이효석아카데미(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유료)-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무료)- 3프로TV 박병창 교보증권 이사님 시황(무료)오늘은 신기하게도 3곳에서 전부 뱅크오브아메리카의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내용을 다뤄주시더군요.특히 박병창 이사님께서는 펀드 매니저들은 학교 교수들과는 달리 실전에서 돈을 굴리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이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들을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하셨습니다.PDF 원본 파일은 BoA의 유료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거라서 찾을 수가 없었는데.. 한군데 올라와 있더라고요.도대체 무슨 내용이길래 다들 언급했을까 궁금하시죠?간단히 요약해 드릴게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by Bank of America▶ 조사일시 - 2025. 4. 4 ~ 설문조사 10(상호관세 발표 정점)▶ 조사대상 - 4440억 달러 자산을 운용하는 펀드매니저 195명▶ 투자 심리 - 투자 심리는 사상 다섯 번째로 낮은 수준으로 급락 - 2월의 낙관론에서 강세론 붕괴(bull crash)로 전환 - 응답자의 82%가 향후 12개월 동안 글로벌 경제가 약화될 것으로 예상 └ 30년 만에 가장 비관적 전망 - 42%가 글로벌 경기 침체 예상 └ 지난 20년간 네 번째로 높은 침체 예상 수준 - 70% 이상이 향후 1년 내 스태그플레이션(높은 인플레이션과 낮은 성장) 예상▶ 자산 배분 - 설문조사 현금 비율이 2023년 2월 대비 125bp 상승한 4.8%로 급등 - 2020년 4월 이후 가장 큰 2개월 증가폭 └ 현금 비중 높다 → 리스크 회피 심리 - 미국 주식 비중을 줄이겠다는 매니저가 사상 최대를 기록 - 미국 예외주의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정점 - 헬스케어,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등 방어적 섹터로 자금 이동 - 은행, 소재, 에너지 등 경기 순환 섹터는 외면 - 42%가 2025년 최고 성과 자산으로 금을 꼽아 안전자산 선호▶ 경제 및 정책 전망 - 57%가 설문조사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승을 예상 - 미국 달러와 미국 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줄어듦 - 유로존 및 신흥시장으로 관심 이동▶ 테일 리스크 - 최대 리스크: 무역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 기타 리스크: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통화 정책 긴축, 미국 정부효율화부(DOGE)로 인한 미국 경기 침체 우려.▶ 시장 시사점 - 극단적인 비관론은 역사적으로 시장 회복의 신호로 작용 └ 이번 설문조사의 비관적 전망이 주식 매수 신호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음 - 다만, 미국 주식 외 지역이나 방어적 자산에서 기회가 설문조사 있을 수 있음과연 지금이 다시 주식을 살 땐가?투자자들이 제일 싫어하는 것 중에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변동성이 있죠?!주식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가 4월 7일 장중 60.13을 찍고 현재 30.12까지 내려왔습니다.VIX지수는 평소 30 아래에 있습니다.시장에 큰 충격이 오면 치솟죠.■ 2005년 이후 VIX지수 급등 사례① 2008년 10월 10일 - 글로벌 금융위기 : 89.53② 2020년 3월 16일 - 코로나19 팬데믹 : 82.69③ 2024년 8월 5일 - 앤케리청산 : 65.73④ 2025년 4월 9일 - 트럼프발 '관세 전쟁': 60.13JP모건에서 VIX지수가 50을 설문조사 넘긴 사건 이후 1주일, 1달, 3개월 후 S&P500지수 주가 수익률을 정리했는데요.3개월 후까지 주가가 -5% 넘게 하락해 회복이 안 된 경우는..■ VIX지수 50 초과후 3개월 뒤 주가가 -5% 넘게 하락 ① 1990년 8월 - 이라크 쿠웨이트 침공: -6.8%② 2008년 9월 - 글로벌 금융위기 : -21.8%③ 2020년 2월 - 코로나19 팬데믹 : -8.4%④ 2022년 4월 - 금리 인상 사이클 시작 : -6.1%그 외에는 대부분 플러스 수익률로 올라왔죠.관건은 경기침체가 올 만큼 시장이 부러지는가 였습니다.그치만 월 단위가 아니라 연 설문조사 단위로 길게 보면요.1년 후 수익률이 안 오른 적이 없었습니다.1년 후 평균 35%나 상승했네요.정리하면요.트럼프발 '관세 전쟁'과 올 초부터 이어온 '경기침체'우려로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이 바짝 쫄아 있습니다.그치만, 시장의 변동성은 줄어들고 있고요.변동성이 피크(VIX 50 이상)를 치고, 주가도 급락했을 때 주식을 사면 1년 후에는 수익 낼 확률이 100%였습니다.자신이 앞으로 1년 넘게 미국 주식에 투자할 의사가 있다면 분할 매수로 주식을 모아가는 것도 좋아 보이네요.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 좌충우돌 투자 연습 중!※ 투자 공부한 개인 경험을 설문조사 정리했습니다.※ 투자는 꼭 본인의 생각과 소신으로 하셔요.투자 공부한 걸 나눠서같이 부자 되길 원합니다!글을 방금 올리고 더 좋은 자료를 찾았네요!!지금처럼 VIX지수가 50과 30 사이에 있을 때주식을 매수한다면? 어떠신가요?사족>김영익 교수님께서는 올해 채권보다는 주식, 특히 미국 주식보다는 우리 주식 같은 이머징 마켓 주식 수익률이 더 높을 거라고 하시는데... 미국 주식보다 코스피 종목들을 모아가는 게 어떨까 싶기도 하네요.;BoA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BoA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요약)
- 이전글영통구 하수구막힘 정화조 막힘 배수 설비 25.04.19
- 다음글영통구 하수구막힘 정화조 막힘 배수 설비 25.04.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